반응형
1. 기업 소개
기업명: 빌트 로보틱스 (Built Robotics)
국가: 미국
설립 목적: 완전 자율 건설용 로봇을 통한 건설현장의 인력난 해소
2. 서비스 소개
1) 엑소시스템 (Exosystem)
기존 수동 굴착기를 로봇 굴착기로 만들어주는 자율주행 키트이며, 현장 기지국과 인공위성 결합해 cm 단위까지 위치데이터 생성하는 GPS를 사용하여 정교한 작업이 가능하다. 라이다센서와 카메라 통해 사람 위치 파악. 위험범위 감지할 경우 정지한다.
2) 태양광 발전소 말뚝박기 로봇 (RPD35)
하루 300개 이상 말뚝 박을 수 있음. 정교한 작업가능
3) 자율주행 시스템 관리하는 프로그램 (Everest)
프로그램을 통해 자율주행 중장비 관리. 작업구역 설정 라이브 카메라 안전상황 인식하여 알림
로봇 제어 시스템 센서 및 소프트웨어 등의 기술적 요소뿐만 아니라 운영 절차 및 교육 등 다양한 측면에서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노력
3. 적용사례
- 자율 운행 대형 포크레인과 불도저.
- 포크레인이 흙 퍼내면 불도저가 쌓인 흙 밀어냄.
- 두 장비 연계 작업 가능.
- 완전 자율 소형 트랙로더.
- 땅을 파내거나 지형 높낮이 조절 작업 수행
4. 기대효과
- 반복적인 작업 자동화를 통해 인력 작업 시간 줄임.
- 생산성 향상.
- 건설현장에서 위험한 작업을 수행하거나 사람이 작업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므로 안전성 향상.
- 인력을 대체하여 인건비 감소
5. 한계
- 빌트 로보틱스의 자율 주행 로봇은 주로 중대형 건설 기계 대체. 일부 작업 대응 부족 및 작업 범위 제한됨.
- 높은 초기 투자비용으로 적극적인 도입이 이루어지지 않음.
- 장비 프로그래밍 조작에 기술과 노력 필요. 기존의 건설 기계나 로봇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은 진입 장벽
'건설 그리고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해발생이론] 사고는 왜 일어나는가? 도미노이론 (Heinrich 1931) (4) | 2023.05.26 |
---|---|
[스마트 건설] 3D 프린팅 스마트 건설기업, Hyperion Robotics (0) | 2023.04.06 |
[건설 안전] 사전작업허가제 업무 절차 및 대상 (0) | 2023.04.03 |
[건설 안전] 안전작업허가제, 사전작업허가제 배경 및 목적 (0) | 2023.04.03 |
[건설 안전] 설계 안전성 검토 법적 내용, 벌칙 조항, 관련 근거 (0) | 2023.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