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 그리고 안전

[건설 안전] 설계안전검토보고서 포함내용, 서식, 작성법

by 안전잼 2023. 3. 10.
반응형

 

1. 설계안전검토보고서 포함 내용

설계자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포함된 설계안전검토보고서를 발주자에게 제출한다.

 

1) 대상사업 개요
2) 설계 안전성 검토 목표
3) 설계 안전성 검토 수행 절차 및 일정
4) 설계 안전성 검토 참여자
5) 발생빈도, 심각성의 등급 및 기준
6) 위험성 허용수준 기준
7) 공종별 위험요소 도출과 관리주체
8) 위험요소별 위험성 평가
9) 저감대책 평가표 및 저감대책 평가 항목과 기준
10) 위험성 평가표 요약
11) 잔존 위험요소
12) 건설신기술 또는 특허공법의 저감대책 검토보고서
13) 관련자료
14) 기타 발주자가 설계자와 협의한 내용 등

 

설계안전검토보고서 갑지

 

 

2. 위험요소별 위험성 평가표

설계자는 해당 설계의 현장 조건, 공사 특수성 등을 감안하여 위험요소 도출, 위험성 평가와 저감대책을 수립한다. 위험요소별 위험성 평가표에 입력되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심각성: 발주자 협의를 통해 결정된 사고 심각성 등급표로 결정된 해당 위험요소의 사고 심각성 등급 추정하여 기록
  • 위험등급 : 발생빈도와 심각성으로부터 결정된 해당 위험요소의 위험등급을 평가하여 기록
  • 위험요소 저감대책 가정/제3자에 의한 저감대책, 잔여 위험요소 : 설계에 잔존하는 위험요소에 대해 시공단계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저감대책으로 시공자가 인식하도록 기록
  • 발생빈도와 사고심각성:각 등급의 상세 평가기준은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정량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으나, 건설공사의 특성상 정성적인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음.

위험요소별 위험성 평가표 서식

 



3. 저감대책 평가표

  • 대안 1, 대안 2 : 해당 위험요소에 의한 위험 등급을 저감시키기 위해 도출된 저감대책들을 기입
  • 대안평가 발생빈도와 심각성으로부터 결정된 해당 위험요소의 위험등급을 평가하여 기록
    도출된 저감대책에 대한 평가 내용과 평가 등급(A, B, C) 기록하며, 평가 항목과 등급에 대해 발주자와 협의하여 결정
  • 결정 : 해당 위험요소의 저감대책 중 선택된 저감대책 표시
  • 선정된 대안에 대한 위험성 평가:해당 위험요소에 대해 저감대책 적용 후 재평가한 위험성 평가 결과 기록

저감대책 평가표 서식

 

 

댓글